반응형
1. 징글징글 한 무좀을 잡을 수 있는, 무좀이란 무엇일까.
무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백선으로 성인 남성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발 무좀은 발가락 사이. 특히 4반째 발가락과 5번째 발가락 사이나에 많이 발생하며 피부가 짓무르고 습기에 불어 허옇게 되거나 갈라지며 각질이 벗겨지기도 합니다. 땀이 많이 나면 불쾌한 냄새가 나기도 하고 때로는 가려움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무좀은 곰팡이 균에 의해서 피부에 생기는 표재성 곰팡이 질환입니다. 곰팡이가 살기 좋은 습한 환경에서 호발 하기 쉽기 때문에 주로 여름철에 많이 생기는 편입니다. 남자들은 군대에서 군화 속에서 발이 습하게 노출되었다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자분들은 겨울철 부츠를 신는 습관에서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좀에는 발가락 무좀. 발톱 무좀. 손가락 무좀 등 많은 종류의 무좀들이 있는데 오늘은 발가락 무좀을 언급을 해보자고 합니다.
2. 징글징글한 발가락 무좀의 원인
무좀이라는 것이 곰팡이 질환이기 때문에 전신 어느 곳에서도 다 나타나는 것이 가능합니다, 머리. 손발톱. 사타구니 등 피부 어느 곳에서도 병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균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가장 흔한 균은 적색 백선균으로 알리져 있습니다. 공중목욕탕. 수영장 등에서 전염될 수도 있고 가족 간에도 쉽게 옮을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문제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무좀 환자에게서 떨어져 나오는 인설 즉 각질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고 습한 환경. 특히 당뇨병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감염 확률이 더 높아집니다.
3. 발가락 무좀의 특징
3.4.5번 발가락 사이에 주로 발생하며 발가락 사이 피부가 불어서 하얗게 변하고 껍질이 벗기지면 가려움증을 동반합니다. 긁다 보면 상처가 생기고 2차 감염이 생기며 붉고 작은 물집형 무좀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물집형 무좀이 만성화되고 각질이 생길 수도 있으며 방치하며 백선균이 발톱 속으로 들어가 발톱 무좀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 특히 겨울철에는 부츠. 스키. 스케이트화. 보드화. 방한화 등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무좀균에게 노출되기 쉽다.**
4. 발가락 무좀의 증상
발가락 무좀에서 언급한 것처럼 피부가 짓무르거나 벗겨지기도 하고 반대로 건조해서 각질이 생기기도 합니다. 가려움증을 동반하며 발진. 물집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5. 발가락 무좀 치료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치료제는 항진 규제 연고, 발톱 전용 무좀 치료제, 먹는 약 등 구할 수 있습니다.
*. 항진균제를 제일 먼저 사용하는 것이 기본 치료입니다. 만약 급성 염증이나 2차 감염이 있다면 항생제와 스테로이드계를 사용하여 합병증을 치료한 후 무좀 치료를 합니다. 발바닥의 각질이 두꺼우면 살라 실산 이나 요소 연고를 사용하여 각질제를 먼저 제거합니다. 이후 항진균제를 1일 2회씩 병변과 주변 부위에 발라 줍니다. 연고로 호전되지 않을 때는 트라코나 졸, 커비나 핀 등 경구용 향진균제를 먹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호전되고 나아진 후에도 1개월 정도는 약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발가락 무좀 예방법
a. 발가락 사이를 깨끗이 b. 씻고 잘 말린다.
b. 면 소재의 양말을 자주 갈아 신는다.
c. 가족 중 무좀이 있다면 양말. 수건 등을 따로 사용한다.
d. 신발 안에는 신문지나 제습제를 넣어 거조 하게 관리한다.
e. 다수가 이용하는 공중시설에는 특히 슬리 펴, 발매트 등을 주의한다.
f. 발은 위생적이고 통풍이 잘 되도록 관리한다.
g. 꽉 끼는 신발을 피한다.
무좀은 일상에서 너무 쉽게 만나는 질환이다. 솔직히 지저분하다고 할 수 있지만 그만큼 쉽게 감염될 수 있는 곰팡이균 가의 싸움입니다. 아무리 관리를 잘한다고 해도 발가락이 촘촘하게 붙어있는 저 같은 경우는 한번 걸리고 나면 재발할까 매일 발가락 사이를 닦는 습관이 되었습니다. 특히 겨울철 방한화나 스키장을 이용하면서 걸리기 쉬운 질환인 만큼 신경 써서 관리를 잘해야 하겠습니다.
반응형
'세상의 모든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와 같이 먹는 "녹 용", 뇌 세포와 혈액 순환에 좋다 (0) | 2022.06.02 |
---|---|
직접 보고 직접 확인하고 "홍 삼" 제품을 사용하자. (0) | 2022.06.02 |
서울대 병원 정보 의학과 의학 정보, "아토피성 피부염" (0) | 2022.06.01 |
누구나 격을 수 있는 "지 루 성" 피부염 (0) | 2022.05.31 |
피부에 생기는 붉은 반점을 자 반증 이라고 한다. (0) | 2022.05.31 |